Docker 관리를 위한 툴 Portainer 설치하기.

안녕하세요. 달소입니다.

앞서 소개해드린 Docker Web UI 관리 툴 Portainer를 Ubuntu 서버에서 구성하는방법입니다.

Portainer를 통해 도커 컨테이너를 손쉽게 관리할 수 있으므로 편한 관리를 위해서는 꼭 설치하실것을 추천드립니다.

오픈소스 도커 관리 툴 Portainer[서버 구축(Self-Hosted)] 달소 2023.07.16  안녕하세요. 달소입니다.   이번에 소개해드릴 오픈소스 프로젝트는 Portainer 입니다. 아주...

기본적으로 단독 Docker노드를 위한 가이드이며, 도커 스웜이나 쿠버네티스의 경우 아래 링크에서 참고하시면 되겠습니다.

Set up a new Portainer CE Server installation - Portainer Documentationdocs.portainer.io

설치환경

Ubuntu 22.04 LTS

docker / docker-compose

내부환경 설치(IP 접근)

Portainer 컨테이너 생성하기

Portainer의 데이터를 보관할 도커 볼륨을 별도로 생성해줍니다.

기본적인 컨테이너의 경우 도커소켓을 통해서 전달되기때문에 데이터는 서버에서만 이용된다고 보시면됩니다.

docker volume create portainer_data

이제 아래명령어를 통해 컨테이너를 생성하면 되는데요.
여러 노드의 연결을 위한 8000번 포트는 에이전트 포트이고 실제로 웹접속으로 사용하는건 9443 포트입니다.

자체서명된 인증서를 사용하기때문에 http로 접근이 필요하신경우 9000번 포트 추가해서 사용하시면 됩니다.

docker run -d -p 8000:8000 -p 9443:9443 --name portainer --restart=always -v /var/run/docker.sock:/var/run/docker.sock -v portainer_data:/data portainer/portainer-ce:latest

image.png.jpg

컨테이너 생성이 완료되면 https://ip:9443 포트로 접속해주시면 초기 계정 셋팅을 진행합니다.

image.png.jpg


Home에서 보면 로컬에서 구동중인 컨테이너의 정보가 보입니다.

image.png.jpg

Live connect를 누르면 현재 구동중인 컨테이너/이미지/볼륨 등등 모두 확인이 가능합니다.

image.png.jpg

컨테이너의 세부로 들어가면 inspect를 통해 컨테이너 정보 확인

console을 통해 내부 접근, logs를 통해 실시간 로그 등 정보확인이 가능합니다.

image.png.jpg

템플릿을 통해 이미 hub.docker에 저장되어있는 이미지들을 사용해서도 컨테이너 생성이 가능하고

image.png.jpg

Stacks를 통해 docker-compose.yml 파일을 업로드해서 컨테이너 생성도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