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라클 클라우드 인스턴스 쉽게 접근하기.(Feat. Tailscale)
안녕하세요. 달소입니다.
앞서 소개해드린 Tailscale을 통해서 많이들 사용하고계시는 오라클클라우드를 편하게 관리하시는 방법을 소개해드리고자합니다.
기본적으로 OCI 인스턴스의 경우 ssh key를 통한 접근만 허용하고있는데요.
이때문에 키를 잃어버리면 서버에 접근을 못하는,,, (저같은..) 일이 발생하곤합니다.
이러한일을 미연에 방지하기위해 적용해보면 좋을 작은 팁 입니다.
Tailscale과 Tailssh
여기서는 Tailscale과 Tailssh를 사용합니다.
Tailscale이란 무엇인가?? 기본적인 개념과 사용방법.[서버 구축(Self-Hosted)] 달소 2023.09.09 안녕하세요. 달소입니다. 이번글은 Tailscale의 기본적인 개념과 사용방법에 대해서 소개해드... Tailscale의 편의기능(Magic DNS, Tail SSH, Web...[서버 구축(Self-Hosted)] 달소 2023.09.10 안녕하세요. 달소입니다. 이번글에서는 Tailscale의 편의기능을 좀더 소개해드리겠습니다. ...
오라클클라우드 인스턴스에서 설치하기
최초에는 오라클클라우드 인스턴스에 ssh로 접근 후 tailscale을 설치해주셔야합니다.
curl -fsSL https://tailscale.com/install.sh | sh
설치가되면 tailscale을 실행해주시는데 -ssh 옵션을 붙여주시면 tailssh가 동시에 활성화됩니다.
tailscale up --ssh
관리콘솔에서보면 아래처럼 나오고있습니다.

우측의 ```을 눌러서 SSH를 눌러주시면 Web SSH 사용도가능합니다!

오라클클라우드 인스턴스의 OS가 ubuntu 라면 user 이름도 ubuntu로 적어주시면됩니다.

2차인증도있습니다.

끝입니다 ㅎㅎ

이렇게 tailscale을 통해 ssh를 접속이 가능해지면 기본정책에서 ssh 정책을 삭제해도 괜찮습니다.
++추가팁
기본적으로 오라클클라우드에서 Tailscale 통신을하면 derp를 타고갈텐데요.
방화벽 설정에 41641 udp 포트를 양방향 허용해주시면 p2p 통신이 가능합니다.

tailscale ping [ip] 로 derp로 연결되는지 확인가능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