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ailscale을 이용한 Oracle Cloud 와 NAS간 NFS 연동하기.
안녕하세요. 달소입니다.
요번에는 내부에 구축해놓은 NAS의 NFS와 오라클클라우드 VM간의 스토리지 연결을 진행해보겠습니다.
이렇게 스토리지 연동을하는목적은 kopia로 데이터 백업을 할 스토리지를 만드는게 목적입니다.
스토리지간 속도가 보장된다면야.. 실제 데이터를 저장하는것도...ㅎ
사전준비사항
오라클클라우드 VM에 Tailscale 설치
서버포럼 - 오라클 클라우드 인스턴스 쉽게 접근하기.(Feat. Tailscale)svrforum.com안녕하세요. 달소입니다. 앞서 소개해드린 Tailscale을 통해서 많이들 사용하고계시는 오라클클라우드를 편하게 관리하시는 방법을 소개해드리고자합니다. 기본적으로 OCI 인스턴스의 경우 ssh key를 통한 접근만 허...
내부 NAS에 Tailscale 설치
시놀로지/헤놀로지에 Tailscale 클라이언트 설치하기.[NAS(시놀/헤놀)] 달소 2023.09.10 안녕하세요. 달소입니다. Tailscale을 사용하실때 여러가지방식이 있겠지만 클라이언트를 직접...
위처럼 셋팅하신뒤 p2p 통신이 되야 제대로 속도가 나오니 반드시 체크해주세요~
아래처럼 derp를 안타고 공인 ip가 나오면 제대로 통신되는것입니다.

NFS 설정하기
이제 마운트할 NFS스토리지를 지정해주셔야합니다.
공유폴더를 생성하고 NFS 권한을 부여합니다.

NFS 권한 생성을 해주는데 IP는 오라클 VM의 Tailscale IP를 지정해주시면됩니다.


그리고 하단의 마운트 경로를 따로 기록해주세요. 마운트할때 필요합니닷.

Oracle에서 NFS 마운트하기
먼저 apt install nfs-common 으로 패키지를 설치해줍니다.

그리고 볼륨매핑 시켜줄 폴더를 만들어주세요.
저같은경우 /mnt/nas 로 만들겠습니다. 마운트도 바로 시켜줄텐데 ip는 역시 NAS의 테일스케일 IP입니다.
mkdir -p /mnt/nas
mount 100.96.37.139:/volume2/oracle_storage /mnt/nas

마운트도 잘되었고 테스트파일도 잘 만들어졌습니다.

재부팅시 자동마운트 셋팅도 진행해주셔야합니다.
echo "100.96.37.139:/volume2/oracle_storage /mnt/nas nfs defaults 0 0" >> /etc/fstab

이제 부팅시에 자동으로 마운트가 진행됩니다.
이 스토리지를 활용해서 데이터를 저장하셔도되고 백업하셔도 됩니다~
든든 저장소 완료!